변수를 선언할 때, 변수에 저장할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 타입을 선택한다.
1. 데이터 형
- byte
: 1byte 메모리, 즉 8bit "0000 0000" =0, 최소값 -128, 최대값 127
: 컴퓨터 메모리 최소단위는 bit이나 데이터 최소단위는 byte
2. 정수 형
1) int
: 정수형의 기본형
: 4byte =32 bit, 최소값은 -2,147,483,648 / 최대값 2,147,483,647 / 약 21억까지 표현 가능한 타입
2) long
: int 보다 더 큰 숫자일 때
: long num = 1000000L
: 8byte=64bit,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
3. 실수 형
1) float
: 4byte, 배터리를 많이 차지하는 실수형이지만, float 은 지수로 표현하기에 메모리를 절약하는데 사용 됨
: float num = 0.01F
2) double
: 기본형, 8byte
: 0.0d // double d1 = 123.4
: 부동소수점으로 소수점을 표현하다보니, 정확도가 float 보다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
3. boolean 논리형
: True, False 로 표현됨
: 1byte
4. 문자형 데이터
1) char (Character, 캐릭터)
: ch = ‘a’ / 문자, 한글자만 넣을 수 있으며 ‘’ 로 지정해야함
: 2byte
2) String
: String str=“가나다라”
: 문자열,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
'JAVA _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Private 정보 가지고 오기 (0) | 2023.02.15 |
---|---|
[JAVA] JAVA의 연산자 (0) | 2023.02.15 |
[JAVA] 프로그래밍 개발 관련 용어 정리 (0) | 2023.02.15 |
[JAVA] Class, 객체, 인스턴스 (0) | 2023.02.15 |
[JAVA] Method & Constructor 비교 (0) | 2023.02.14 |